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혈액 속 나쁜 콜레스테롤(LDL)과 중성지방이 증가한 상태를 말하는 고지혈증, 이 고지혈증을 잡아야 뇌졸중과 심근경색을 막을 수 있습니다. 심근경색과 뇌졸중에 가장 큰 원인인 고지혈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고지혈증 진단 기준
    고지혈증 진단 기준

     

     

     

     

    뇌졸중과 심근경색

    뇌졸중과 심근경색뇌졸중과 심근경색뇌졸중과 심근경색
    뇌졸중과 심근경색

    뇌졸중 (Cerebral infarction)은 뇌경색이고, 심근경색 (Myocardiac infarction)은 막힐 '경', 막힐 '색'으로 막히고 또 막힌다고 해서 경색입니다. 무엇이 막히냐? 뇌경색은 뇌세포로 가는 혈관이 막히는 것이고, 심근경색은 심장으로 가능 혈관이 막히는 거예요. 세포로 가는 혈관이 막히면 그 세포로 혈액이 들어갈 수가 없습니다. 그러면 그 세포가 혈액을 통해서 받았던 산소, 영양분을 받을 수가 없어요 그러면 그 세포는 굶어 죽겠죠. 그게 바로 세포 괴사입니다. 이 것이 바로 혈관이 막히고 또 막히는 경색으로 인해서 세포의 괴사 즉, 심장 세포가 죽고, 뇌 세포가 죽는 과정입니다.

    혈관 막힘의 근본원인 고지혈증

    그렇다면 왜 혈관이 막힐까요? 이 혈관이 막히는 원인이 바로 고지혈증으로 인하 동맥경화 때문입니다. 동맥경화 (Atherosclerrosis)는 다른 말로 '죽상경화증'이라고 부릅니다. 죽상경화증은 무엇일까? 우리가 설거지 후에 하수도관을 생각해 보면 간단합니다. 프라이팬에 맛있는 튀김이나 햄을 기름이 둘러서 맛있게 잔뜩 구워 먹었습니다. 그리고 그 프라이팬을 설거지하면 우리가 먹은 그 기름들이 하수도관을 타고 설거지 배수관을 타고 내려가죠 자꾸 여러 번 먹으면 먹을수록 그 기름들이 하수도관을 타고 내려가면서 그 하수도관 주위에 안쪽으로 더덕더덕 들러붙게 됩니다. 그래서 그 기름뿐만 아니고 끈적거리는 것까지 그 기름 사이에 들러붙고 그러다 보면 그냔 지나가던 덩어리들까지 끈적거리는 것 때문에 들러붙고 그러다 어느 날은 설거지를 하면 물이 안 내려가요 바로 배수관이 막힌 거죠 그래서 이 하수도관을 열어보면 이 하수도관에 잔뜩 기름때가 껴 있고 끈적거리는 거 그 사이에 음식물들이 막혀있고 심지어 머리카락까지 해서 꽉 들어차 붙어 있습니다.

    혈관 막힘 과정혈관 막힘 과정혈관 막힘 과정
    혈관 막힘 과정

    혈관도 똑같습니다. 고지혈증 즉, 피에 기름이 많은 상태예요. 기름진 지방들이 끈적거리고 미끌미끌한 것들이 계속 혈관 통로를 지나가다 보면 혈관 안쪽 벽에 계속 들러붙게 되고 그러다 어느 정도 많이 쌓이면 혈관 통로를 결국 막아버리고 조그마한 틈으로 피들이 겨우겨우 조금조금 지나가요. 이렇게 해서 혈관벽에 생긴 두터운 기름벽이 바로 동맥경화증입니다. 그러다가 어느 순간 이 작은 틈을 작은 기름 지방덩어리가 탁 막아버리면 완전히 혈관이 막히게 되죠. 그게 바로 '경색' 완전히 막힌 거예요.

    나쁜 콜레스테롤(LDL)나쁜 콜레스테롤(LDL)
    나쁜 콜레스테롤(LDL)

    지금까지 고지혈증이 어떻게 해서 동맥경화증이라는 것을 만들고 동맥경화증이 왜 '경색'까지 뇌경색, 심근경색까지 일으키는지에 대해서 알아봤어요. 결국 그렇다면 이 피에 기름이 떠다니는 고지혈증이라는 것이 먼저 해결이 되어야 동맥경화도 생기지 않고 그래야 뇌경색 심근경색까지를 다 예방할 수 있습니다.

    고지혈증의 위험성

    이렇게 고지혈증이 정말로 뇌경색 심근경색을 일으키는 과정까지는 알겠는데, 그러면 어떤 사람들에게서 어떤 위험요소가 있어야 이런 '경색'까지 발생할까요? 생각보가 흔하게 발생하는 것입니다.

     

    최근 우리나라 만 30세 이상 고지혈증 유병률 40%나 돼요 남자분들은 10명 중 다섯 분, 여자분들은 10명 중에 세 명이 고지혈증이 있습니다. 이렇게 흔하다 보니 오히려 사람들은 신경을 쓰지 않습니다. "나 이번에 검진받았는데, 콜레스테롤이 조금 높다고 하더라" 정도로만 알고 게신고, 이 것의 심각성과 위험성에 대해서는 전혀 인지하지 못하고 계세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고지혈증이 있으면 동맥경화가 생기고 결국 뇌경색, 심근경색까지 가는 게 정해져 있는 코스인데, 30세 이상 젊은 분들이 고지혈증 진단을 받다 보니 먼 일처럼 생각하는 거죠.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에 대한 계산기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에 대한 계산기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에 대한 계산기

    그래서 미국에서 ACC/AHA 라는 심장 쪽으로 가장 유명한 학회가 있는데 여기에서 수십 년간 자료를 바탕으로 ASCVD(Atherosclerotic cardiovascular disease risk calculator)라는 것을 내놨어요. 이건 계산기인데 동맥경화성 심혈관질환의 발생위험도에 대한 계산기입니다. 이건 향후 10년 안에 어떤 사람이 조건들을 넣었을 때 그 사람에게서 뇌경색, 심근경색이 10년 안에 발생할 확률을 나타내주는 계산기인데, 여러 가지 항목 등을 넣어서 계산하는 겁니다. 이 계산기가 나오기 전후의 여러 논문들에서 이 계산기가 실제로 임상에서 발생 통계값과 비슷하다는 결론들이 나온 상태예요. 어떤 항목들이 계산기에 들어가게 될까요? 성별, 나이, 인종과 혈압수치, 고혈압, 당뇨유무도 들어갑니다. 그리고 여기서 결정적으로 고지혈증에 관련되어서는 2가지 검사 결과가 들어가는데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 이렇게 2가지 수치까지 들어가요. 이렇게 계산해서 7.5%을 넘으면 "당신은 10년 안에 뇌경색, 심근경색이 발생할 확률이 7.5%이므로 무조건 고지혈증을 치료해야 한다"라는 결론이 나는 거예요. 그러면 이 7.5%는 어떤 조건일 때 나올까요? 우리나라에 경우에는 40세 남성, 고혈압이고 당뇨는 없어도 담배만 피우시는 남성의 경우 그리고 검진에서 콜레스테롤이 조금 높게 나온 거죠. 그런 경우에 7.5% 이상이 무조건 나옵니다. 그러면 이런 분들은 40세 이신대 다른 지병 없고 콜레스테롤만 조금 높아요. 회사 회식에서 고기 조금 드리고 하시는 거죠. 그러다 보니까 7.5%가 나왔는데, 말이 좋아 7.5%지 13명 중에 1명은 10년 안쪽으로 뇌경색, 심근경색이 발생한다는 겁니다. 무조건 조절해야 되겠죠. 그리고 50세고 지병은 없으세요 술, 담배도 안 해요. 검진에서 혈압이 조금 높게 나왔어요 그리고 고지혈증도 조금 높게 나왔어요. 이런 분들은 10%가 나와요. 지금부터 고지혈증을 조절하지 않으면 10년 안에 10% 즉, 10명 중에 1명에서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이 발생한다는 거예요. 굉장히 무서운 숫자죠. 그렇지만 이건 현실이에요.

    고지혈증 치료의 필요성

    다행인 건 이 위험 계산기는 실시간으로 변한다는 겁니다. 내가 관리를 잘해서 이 고지혈증이라는 것이 조금 좋아지면 이 위험도 또한 바뀌어요. 그렇지만 관리를 하지 않다 보면 고지혈증이 악화가 되고 그러다 보면 혈압도 생기고 위험도는 점점 올라가서 어느 순간 멀게만 느껴졌던 뇌경색, 심근경색이 45세 이럴 때 딱 찾아오는 거죠. 그러면 고지혈증을 치료하면 뇌경색, 심근경색이 좋아질까요? 얼마나 좋아질까요? 이미 동맥경화가 진행돼서 나빠지는 길만 남은 것이 아니냐? 아닙니다. 절대 포기하시면 안 돼요.

    고지혈증 개선에 따른 연구 보고서고지혈증 개선에 따른 연구 보고서
    고지혈증 개선에 따른 연구 보고서

    여기 바로 고지혈증이 좋아졌을 때 얼마나 심혈관 사건 사망이 줄었는지에 대한 보고가 있습니다. 165,792명을 대상으로 한 결과이고, LDL(저밀도 콜레스테롤)이라는 나쁜 콜레스테롤 수치가 39mg/dl 가 감소했을 때 심혈관 질환 발생은 23%가 감소하고, 심혈관 사망률은 20%, 뇌졸중은 21% 감소했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이것도 또 25개 임상 연구들을 조합해서 분석한 결과인데, 마찬가지로 LDL이 39% 감소했을 때 심혈관 사망률은 20%, 뇌졸중 사망률은 14% 감소했다는 결과가 있습니다.

    고지혈증 개선에 따른 심혈관 사망 감소 연구 보고서고지혈증 개선에 따른 심혈관 사망 감소 연구 보고서
    고지혈증 개선에 따른 심혈관 사망 감소 연구 보고서

    결국 나쁜 콜레스테롤(LDL) 수치가 떨어져서 고지혈증이 개선되면 뇌경색, 심근경색으로 사망할 확률이 평균 20% 정도 줄어든다는 말인데, 고지혈증이 좋아지면 뇌경색, 심근경색으로 사망을 할 다섯 명 중에 한 명이 살아남는다는 거예요. 여러분은 다섯 명 중에 살아남는 한 명이 되시겠어요? 아니면 나머지 4명이 되시겠어요? 지금이라도 고지혈증에 대한 심각성을 인지하고 우리 모두 열심히 고지혈증을 치료해야 합니다. 고지혈증을 치료하는 방법은 약을 먹는 방법과 약을 먹지 않는 방법 이렇게 나누는데, 약을 먹지 않고도 충분히 치료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간부터는 고지혈증에 대한 심각성을 분명히 인지하고 앞으로 치료해야겠구나! 안 하면 다섯 명 중에 한 명은 뇌경색이나 심근경색에 걸릴 수 있겠구나 여기까지 알아두시면 됩니다. 참고로 고지혈증 진단은 혈액 검사로 이루어지는데, 혈액검사 결과 총 콜레스테롤 200mg/dl 이상, LDL 콜레스테롤 130mg/dl 이상, 중성지방 150mg/dl 이상인 경우 고지혈증으로 진단합니다. 만약 당신이 여기에 해당된다면 지금 당장 고지혈증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당뇨 초기증상 알아보기

    혹시 나도 당뇨가 아닐까? 당뇨병 무섭다고 하는데 미리 알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 보동 질환들은 전조증상이라는 게 있습니다. 당뇨병엔 전조증상이 어떤 게 있는지 알면 당뇨병을 예방할 수

    good1.afew7.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