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혈압약 효과 및 부작용

어퓨굿70 2024. 5. 28. 18:35

목차



    반응형

    혈압약 효과 및 부작용
    혈압약 효과 및 부작용

    고혈압 약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혈압 약의 종류, 어떻게 혈압을 떨어뜨리는지, 기전은 무엇인지, 빈도가 높은 부작용 등 고혈압 약에 대한 총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혈압 약의 효과 

    고혈압 약의 효과고혈압 약의 효과
    고혈압 약의 효과

    고혈압 약에 대해서 알아보기에 앞서서 고혈압을 낮춰야 하는 이유를 한번 더 강조하고 갑니다. 그래야 고혈압 약을 안심하고 드시겠죠. 전 세계 내과 교과서의 최고봉 해리슨 교과서 최신 20판에 따르면 수축기혈압 10~12mmHg , 이완기혈압 5~6 mmHg 정도 낮출 경우에 치료를 시작하고 5년 내에 중풍이 발생할 확률이 35~40%, 심부전 발생은 50%까지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혈압 조절은 고혈압에 의한 심장 질환의 진행을 막을 수 있는 가장 강력한 방법입니다. 즉 고혈압 약은 고혈압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고혈압 약의 기전

    고혈압 약의 기전(원리)을 알기 위해서는 혈압의 정의에 대해서 다시 한번 리마인드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혈압은 심장에서 피를 짜면 혈액이 혈관을 미는 압력이라고 했습니다. 혈관이라는 한정된 공간에서 심장이 짜내는 피의 양이 많으면 혈액량이 많아지니까 혈압이 올라가겠죠. 심장이 한 번에 짜는 혈액량이 많거나 심장이 빨리 뛰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또 심장에서 나오는 혈액량이 일정하다고 할 때 혈관이 수축하게 되면 즉 양은 일정한데 혈관이 수축하게 되면 내부에 압력이 올라오겠죠. 또 이미 순환하고 있는 혈액량이 많으면 당연히 피가 많으니까 혈관을 많이 밀어서 혈압이 올라갑니다.

     

    언제까지 약에 의존하실 건가요? 여기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에서 안내하는 DASH 식단(혈압을 낮추는 식사요법)을 실천할 경우 약을 줄이거나, 끊을 수 있습니다. 아래 질병관리청 권고 DASH 식단을 확인하시어 건강 챙기시길 바랍니다. 혈압약을 줄이거나, 끊을 경우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출처 : 질병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고혈압 원인 약물 기전(원리)
    1 심장에서 짜는 혈액량인 심장박출량 증가 심장박출량 감소로 혈압 강하
    2 순환하고 있는 몸 속 혈액량 증가 몸속 혈액량 감소로 혈압 강하
    3 혈관 수축으로 내부 압력 증가 혈관을 확장하여 혈압 강하

    ※ 심장박출량 : 심장이 한 번 수축할 때 뿜어내는 혈액의 양 

     

    정리하면 첫 번째, 심장에서 짜내는 혈액량인 심박출량이 줄어들면 혈압이 떨어집니다. 두 번째로 전체 혈액량이 줄어든다면 혈압이 떨어집니다. 세 번째, 혈관이 크게 확장되면 압력이란 것 자체가 없겠죠. 혈관이 확장되면 혈압이 떨어집니다. 이상 설명해 드린 세 가지만 기억하면 됩니다.

    고혈압 약의 종류

    고혈압 약 종류고혈압 약 종류고혈압 약 종류
    고혈압 약 종류

    고혈압 약은 크게 네 종류로 나뉘는데 대한 고혈압학회의 경우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라 네 종류의 약 중에서 적절한 것을 쓰면 된다고 권고하기도 하지만, 미국 고혈압 지침, 유럽 고혈압 지침 등 여러 가지 따져보면 일반적으로는 세 종류, CCB라고 하는 칼슘 통로 차단제, ARB라고 하는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이뇨제 중에서 하나를 먼저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습니다. 추가로 더 써야 될 때 네 번째 약물인 베타 차단제, 베타 블록화라는 약물을 섞어서 쓸 수 있다고 돼 있습니다. 큰 카테고리가 네 가지죠. 사실 약의 처방은 주치의 선생님들이 정할 부분이라서 조심스럽기도 한데, 일반적으로는 평생 먹는 혈압약인데 내가 무슨 약을 먹는지는 알고 가야겠죠.

       

      혈압약 종류 약물 기전 약품명 부작용 복합제
    1 ARB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등) 2번 & 3번 디오반, 카나브, 아모잘탄, 트리테이스, 카프릴 마른기침 트윈스타 
    엑스포지
    2 CCB (칼슘채널 차단제) 3번 노바스크 부종, 두통, 홍조
    3 이뇨제 2번 & 3번 다이크로짇 당지수 및 콜레스테롤 
    조금 상승
     
    4 BB (베타 차단제) 1번 딜라트렌드, 콩코르 천식이 있는 환자 증상 악화  

    첫 번째로 ARB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혹은 ACEi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입니다. 이들은 큰 분류로는 RAS, 레닌-안지오텐신-알도스테론 차단제에 속하는 약물들인데요. 우리 몸의 혈압을 조절하는 기전 중 하나는 신장, 즉 콩팥입니다. 신장은 우리 몸의 필터로 심장에서 쏴 주는 혈액을 일정하게 걸러내고 있는데 하루 종일 혈액을 거르고 있으니까 혈액량의 변화를 미세하게 감지해서 소변량을 조절하고 있습니다. 즉 신장으로 들어가는 혈액량이 줄어들어 신동맥의 압력이 줄어들면 '레닌'이라는 물질을 생산하게 됩니다. 이 '레닌'은 여러 대사 과정을 통해서 '안지오텐신' 생성을 증가시킵니다. 결국 신장에서는 소변량을 줄이고 혈관을 수축시켜서 혈압을 올리는 작용을 하게 됩니다. ARB는 이 작용(안지오텐신 생성 증가)을 막아 버려서 소변량을 늘려서 혈액량을 줄이므로 혈관을 확장시키는 효과로 혈압을 떨어뜨리는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혈압이 떨어지는 기전의 2번, 3번에 해당하는 이유가 되겠습니다. ACEi( ACE inhibitor)라는 이 약물은 ARB와 비교해서 작용 지점이 조금 다를 뿐인데요. 전반적인 컨셉은 큰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시면 되는데, 심근경색과 같은 심혈관 질환에 조금 더 이로운 효과가 있다는 정도로 알려져 있고 ACEi는 약을 먹으면 마른기침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가장 흔한 부작용 가운데 한 개입니다. ARB는 심부전이나 심근경색 치료에서 핵심적인 약물로 심장에 도움이 많이 되지만 신기능이 초반에 다소 감소할 수 있고요. 고칼륨 혈증이라는 게 간혹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백뇨 양은 줄어들기 때문에 신장 안 좋은 환자에게도 굉장히 핵심적인 약물 중 한 개고요. ARB는 성분이 '~sartan(살탄)'으로 끝나는 약물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대표적인 상품명으로는 디오반, 카나브, 아모잘탄 등이 있고요.  ACEi라는 약물은 성분명이 '~pril(프릴)'로 끝나고 대표적인 상품명으로 트리테이스, 카프릴 등이 있습니다. 

    고혈압 약 종류고혈압 약 종류
    고혈압 약 종류

    두 번째로 칼슘채널 차단제입니다. 혈관에도 근육이 있습니다. 혈관이 수축한다는 건 혈관에 있는 근육이 수축하는 건데요. 이렇게 근육이 수축할 때는 칼슘이라는 이온이 근육 세포에 작용을 하는데 바로 여기에 작용해서 혈관의 근육이 힘을 못쓰게 하고 혈관 수축을 막아서 혈관을 이완시켜 혈압을 떨어뜨리는 것이 바로 CCB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혈압이 떨어지는 이유 3번에 해당하는 약이죠. CCB는 혈압 강하 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크지 않아서 ARB와 함께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처방되는 중요한 약물입니다. 심각한 부작용이 적고 그나마 나타나는 부작용으로는 모세혈관을 확장시켜서 간혹 간질액이 혈관 밖으로 물이 나오다 보니 부을 수 있습니다. 부종이 생길 수 있고, 머리 혈관이 확장되면 두통이 생길 수 있고 안면의 혈관이 확장되면 홍조, 즉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고혈압 치료를 목적으로 한다면 성분명이 '~dipine(디핀)'으로 끝나는 약물들이 여기에 해당하고요. 대표적인 상품명으로는 그 유명한 전 세계적으로 너무나도 많이 팔리는 '노바스크'라는 약물이 있습니다.

    노바스크 및 이뇨제노바스크 및 이뇨제
    노바스크 및 이뇨제

    세 번째로 이뇨제입니다. 고혈압 약재로 사용되는 이뇨제는 성분명으로는 '싸이아자이드'라는 약물입니다. 이 약물은 신장에서 소금의 재흡수를 억제하여 소금을 몸 밖으로 배출시킵니다. 그렇게 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수분을 배출시켜 혈액량을 줄여서 혈압을 떨어뜨린다는 것입니다. 오랜 기간 사용하게 되면 혈관의 확장까지 유발해서 혈압을 떨어뜨리게 된다고 합니다. 즉 앞서 말씀드렸던 혈압이 떨어지는 2번, 3번에 해당하는 이유가 되겠습니다. 이 '싸이아자이드'라는 약물은 가격이 저렴하면서도 비교적 안전하고 효과가 좋아서 널리 쓰이는 약물이지만 신장에서 작용하기 때문에 전해질 흡수를 저해하는 기전상 저칼륨 혈증, 저나트륨 혈증 같은 전해질 장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 인슐린저항성 다시 말해서 당이 좀 올라간다거나 콜레스테롤을 조금 상승시키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는 걸로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심각한 정도는 아닌 것으로 밝혀져 있습니다. 말씀드린 대로 '싸이아자이드'라는 것이 성분명이고 대표적인 상품명으로는 다이크로짇이라는 약이 있습니다. 네 번째로 베타 차단제입니다. 베타 차단제는 심장의 수축력과 심박수 모두를 감소시켜서 혈압을 떨어뜨리는 작용을 합니다. 즉 짜내는 피의 혈량을 줄이는 것이지요. 앞서 말씀드린 혈압이 떨어지는 이유 중 1번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앞서 말씀드린 약물들과 비교하면 단독 약재로 처방했을 때는 혈압 강화 능력은 조금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져 있고 현재 몇몇 치료지침에서는 이 약만 단독으로 혈압을 떨어뜨리는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은 권하지 않기도 합니다. 하지만 베타 차단제는 협심증, 심부전, 부정맥 있는 환자에서 사망률과 입원율을 감소시키는 아주 중요한 약재이기 때문에 환자의 상태에 따라서 다른 약물과 함께 자주 처방되는 중요한 약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베타 차단제는 천식이 있는 환자의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고요. 부정맥 중의 일부를 오히려 유발시킬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발기부전이 생길 수 있다는 치명적인 단점이 널리 알려져 있는데, 이와 관련해서도 논문을 검토한 결과 발기부전의 발생률은 아주 극히 낮은 걸로 밝혀져 있어 너무 걱정 안 하셔도 될 것 같습니다. 베타 차단제는 상품명이 '~lol(롤)'로 끝나고,  대표적인 상품명으로 딜라트렌드, 콩코르 같은 약물들이 있습니다. 이상으로 대표적인 고혈압 약물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이 큰 카테고리 네 개가 대부분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고요. 마지막으로 추가할 내용은 약물의 종류라기보다는 복합제에 대해 설명드립니다. 고혈압 약은 단독 처방 약 하나 쓰는 경우보다는 두 개 이상 섞어놓은 형태로 쓰는 경우가 많지요. 이런 경우는 먹기 좋게 알은 한 개인데 약(성분)을 두 개 이상 섞어 놓은 형태이고, 이것을 복합제라고 합니다. 2017년 자료를 보면 이미 가장 많이 처방되고 있는 고혈압 약은 1위가 '트윈스타', 2위는 '엑스포지'라는 CCB + ARB 복합제입니다. 여러분이 약을 한 알 먹는 중이라고 해도, 실제로는 약을 두 개 세 개를 복용할 수도 있다는 말이지요. 고혈압이라는 중요한 질환을 치료받고 있는데, 적어도 자기가 먹는 고혈압 약을 몇 알 먹고 있는지는 알아야겠지요. 그래야 내 고혈압 치료가 잘되고 있다. 잘 안되고 있다. 나빠져서 약을 추가했다. 좋아져서 뺐다. 정도는 알 수 있겠죠. 내가 무슨 약을 먹는지 꼭 확인하시고 약을 줄이거나 중단할 경우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https://naver.me/FFStLUSK

     

    당뇨약 장점 및 부작용(효율적 치료 방법)

    요즘에 처방되는 당뇨약이 많이 있는데, 과연 내가 먹는 당뇨약이 부작용이 없는지? 당뇨약에 어떤 부작용이 있는지? 우리가 당뇨 진단 이후에 혈당조절을 위해서 당연히 처방받고 먹는 것이 당

    good1.afew7.com

    https://naver.me/5VlLttWE

     

    고지혈증 주사 치료

    관동맥에 기름이 끼어 있어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70mg/dl까지 낮춰야 되는데, 스타틴 약물 부작용으로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못 낮추는 경우 참 곤혹스럽습니다. 여기 한 달에 한 번 주사 맞으면

    good.afew7.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