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고혈압 약물 치료
    고혈압 약물 치료

    고혈압에 대해 많은 분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것, 바로 "혈압약을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할까요?" 이것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혈압약을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할까요? 정답은 "아닙니다"입니다. 절대 한 번 먹는다고 평생 먹을 필요 없고 먹다가 끊는다고 큰일 나지 않습니다. 끊을 수 있어요. 혈압이 낮아지면 약은 끊을 수 있습니다. 사실 물을 필요가 없는 질문이에요. 우리가 감기 증상이 있어서 감기약을 먹다가 감기가 나아지면 약을 중단하죠. 혈압도 똑같습니다. 혈압이 높을 때는 약을 먹다가 혈압이 낮아지면 약을 끊으면 됩니다.

    고혈압 약의 역할고혈압 약의 역할고혈압 약의 역할
    혈압약의 역할

    그렇다면 애초에 한 번 혈압약을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는 말이 왜 생겼을까요? 이 말 때문에 치료받아야 하는 고혈압 환자들이 무서워서 약을 시작하지 못하고 계셔요. 한 번 시작하면 평생 먹어야 한다니까 생각만 해도 싫은 거죠. 혈압이 높아서 약을 먹고 있는데 매일매일 약 챙겨 먹기가 귀찮습니다. 그런데 혈압이 높지만 한 번 약을 시작하면 평생 시작해야 한다는 오해 때문에 고혈압이라는 심각한 질환을 외면하고 계신 환자분들, 이 오해 때문에 여러분의 혈관 건강이 지금 망가지고 있습니다.

     

    고혈압 전단계 계시는 분, 혹은 고혈압 진단을 받으신 분들이 고혈압 약물 복용이 없이 개선되거나, 완치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여기 생활습관 개선 중  DASH 식사를 소개합니다. DASH 식사 패턴으로 조절한 결과 평균 수축기 혈압은 약 3.07 mmHg, 이완기 혈압은 1.81mmHg 정도 낮아졌다고 보고되고 있습니다. 이처럼 DASH 식단 요법은 고혈압을 낮추는데 효과가 있는바, 아래 질병관리청 권고 DASH 식단을 확인하시어 건강 챙기시길 바랍니다.

     

    출처 : 질관관리청 국가건강정보포털

     

    고혈압 약에 대한 오해 

    고혈압 약의 오해고혈압 약의 오해고혈압 약의 오해
    고혈압 약의 오해

    그래서 여러분의 혈관 건강을 위해서 두 가지로 이 오해를 풀어 드리겠습니다. 

    이런 오해가 생긴 첫 번째 이유는 환자분들이 고혈압이라는 질병의 심각성을 잊고 있기 때문에 생긴 일입니다. 혈압약을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할까요? 이 질문 자체가 사실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니까 먹기가 싫고 부담스러워서 자꾸 외면하고 싶은 거죠. 심지어 어떤 혈압이 높은 40대 환자분은 혈압이 높다는 진단을 받았음에도 "됐어요. 혈압약은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니까 저 지금 안 먹어요. 나중에 먹을게요, 나중에."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도 있습니다. 고혈압의 해결책이 고혈압 약 한 가지가 절대 아닙니다. 특히 젊은 분들은 혈압약 복용이 절대 첫 번째 해법이 아닙니다. 첫 번째는 생활습관 개선입니다. 30대, 40대, 50대의 젊은 분들은 혈관의 탄성도가 좋기 때문에 생활습관만 열심히 변화시켜도 충분히 혈압을 떨어뜨릴 수 있어요. 그런데 환자분은 고혈압이 발생한 이유 자체를 고민하시는 게 아니라 고혈압 때문에 매일 약을 먹어야 한다는 것, 이것에 대한 걱정이 훨씬 크시더라고요. 고혈압의 원인이나 해결하는 방법 등에 대해 고민하지 않는 것은 고혈압이라는 만성질환에 대해 너무 쉽게 생각하고 그 심각성을 간과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당뇨병이 생겼을 경우에는 환자들이 대부분 자신이 벌써 당뇨병이 생겼으니 생활습관이 잘못되지는 않았는지,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할지, 어떤 생활습관 개선을 가져야 할지, 무엇을 먹어야 할지, 어떻게 해야 당을 떨어뜨릴 수 있을지 등을 고민할 것입니다. 당뇨병 환자들은 당뇨약을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니 지금 말고 나중에 먹어야겠다는 말이나 생각은 아예 하지 않아요. 당뇨는 아직까지 심각한 질환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고혈압은 다르죠. 고혈압은 의사가 "환자분, 혈압이 높습니다. 계속적으로 혈압이 높아서 고혈압이라고 진단할 수 있겠습니다"라는 말을 들었을 때 '내가 왜 혈압이 높지? 어떻게 하면 혈압을 떨어뜨릴 수 있지?'라고 열심히 고민하시는 분들 보다는 오히려 혈압약을 평생 먹어야 한다고 나중에 다음에 드신다는 분들이 훨씬 많아요. 물론 열심히 노력하시는 분들도 있지만요.

     고혈압 약의 오해  고혈압 약의 오해
    고혈압 약의 오해

    혈압을 떨어뜨릴 수 있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어요. 염분 조절, 저지방식, 금연, 운동습관 변화, 체중 변화 등으로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하지만 이렇게 생활습관을 변화시키고 매일같이 혈압을 재는 등 열심히 혈압을 떨어뜨리려는 분들이 거의 없는 게 현실입니다. 대부분의 환자들이 별 증상이 없습니다. 별 증상이 없으니까 검진하거나 병원에 갈 때마다 혈압이 160mm/Hg, 170mm/Hg 이렇게 수축기혈압이 올라가도 혈압이 좀 높나 보다고 생각하고 잊어버리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혈압이 지금까지 계속 높아도 아무 증상 없다는 것이지요. "증상 없어도 괜찮아요. 계속 높더라고요." 이렇게 생각하시고 그냥 간단한 일로 잊어버리시는 분이 정말 많아요. 실제로 혈압약을 시작하더라도 약을 먹든 안 먹든 증상엔 큰 변화가 없다는 분들이 많지요. 지금까지의 연구 결과들을 보면 혈압약을 시작한 지 1년 안에 50%의 환자가 자발적으로 약을 중단해 버린 그런 결과들이 있었어요.

     

     

    고혈압의 위험요인을 바로 알고 이를 실천하지 않을 경우 고혈압을 치료할 수 없습니다. 고혈압을 치료하고 싶다면 고혈압 위험요소를 인지하고 이를 실천하셔야 합니다. 대한고혈압학회에서 권고한 아래 위험요소를 확인하시어 고혈압 개선으로 건강한 삶의 질을 회복하시기 바랍니다. 

     

     

     

     

    지금 약을 안 드셔도 상관없습니다.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약을 먹어야 할지 말지를 고민하는 것이 아니라 어떻게 혈압을 떨어뜨릴지 어떠한 방법으로 내가 열심히 떨어뜨릴지 고민하는 일입니다. 지금 높은 혈압이 나중에 약 먹는다고 떨어지나요? 절대 그렇지 않죠. 혈압은 그냥 계속 높은 상태로 유지되는 거예요. 

    고혈압 합병증고혈압 합병증고혈압 합병증
    고혈압 합병증

    그러면 고혈압은 왜 무서울까요? 왜 만성질환일까요? 지금은 아무 증상이 없지만 나중에 합병증이 생기기 때문입니다. 고혈압이라는 것은 혈압이 높은 상태가 유지되는 것을 말하는데, 혈압은 하루에도 계속 변동이 있지만 그 평균값이라는 게 있죠. 이 평균값이 높은 거예요. 그러다 보면 혈관의 탄성도가 떨어지고, 그러한 이유로 동맥경화가 악화됩니다. 결국에는 혈관 터지거나 출혈이 일어나거나 뇌출혈, 심근경색, 뇌경색 같은 온갖 뇌와 심장의 합병증들이 일어나므로 고혈압은 무척 심각한 질환입니다. 고혈압은 수축기혈압이 190mm/Hg, 200mm/Hg 이어도 아무 증상 없는 분들도 있어요. 그런데 계속 수축기혈압이 190mm/Hg, 200mm/Hg 이면 합병증이 생겨요. 혈관이 터집니다. 뇌출혈이 생기지요. 우리나라 성인의 뇌출혈 원인 중에 가장 큰 원인은 고혈압성 뇌출혈이에요. 지금 아무 증상이 없고 40, 50대로 젊으셔도 혈압이 높은 그 순간순간들이 뇌혈관 속에 내 몸속에 계속 저장되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혈관 건강이 지금도 악화되고 있는 거예요. 지금 혈압 높은 것이 나중에 해결될까요? 아니에요. 우리 몸에 생기는 합병증이라는 것은 그 질환이 조절되지 않는 순간순간들이 차곡차곡 쌓여서 결국에는 합쳐져서 합병증이라는 것이 생기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나이와 상관없이 내 몸에 계속 혈압이 높은 순간들이 저장되고 있습니다. 계속 저장되고 있다가 기다리고 있는 거예요. 그렇기 때문에 지금이라도 무조건 혈압은 빨리 떨어뜨리셔야 돼요. 고혈압은 너무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 질환이기 때문에 여러분이 심각성을 잊고 있는 것입니다.

    고혈압 합병증 심각성고혈압 합병증 심각성고혈압 합병증 심각성
    고혈압 합병증 심각성

    고혈압성 뇌출혈은 남의 일이 아닙니다. 50대 젊은 여성이 갑자기 의식을 잃고 쓰러지는 것, 그리고 응급수술을 했는데도 그 이후에 한쪽 마비, 균형 이상, 인지기능 이상, 그리고 자녀를 못 알아보는 상황, 이게 고혈압성 뇌출혈이에요. 하루아침에 일어납니다. 예고가 없어요. 이것을 본인이나 본인 가족이 겪고 나면 이미 너무 늦었어요. 지금도 그 순간들이 쌓이고 있습니다. 고혈압이라는 질환이 얼마나 심각한 질환인지 그 합병증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고 기억하고 실천하셔야 합니다. 

    "그렇다면 자꾸 겁만 주는 것 아니냐 결국 약 먹으라는 것 아니냐"라고 물으실 수 있는데, 물론 약이 다 해결해 주진 않아요.

    고혈압 약의 효과고혈압 약의 효과고혈압 약의 효과
    고혈압 약의 효과

    여기서 오해가 생긴 두 번째 이유는 고혈압 약에 대해서 굉장히 큰 오해를 하고 있어요. 고혈압 약은 특별한 약이 아니에요. 그냥 약 먹으면 효과를 보이다가 시간이 지나면 콩팥이나 간으로 배설되고 대사 돼서 나가는 그냥 그런 효과가 있는 약이에요. 혈압 낮추는 효과가 있는 단순한 약입니다. 그런데 왜 이 약만 한 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한다고 인식될까요? 그리고 이 약은 갑자기 끊으면 큰일 날까요? 아니죠. 마약도 아니고 의존성이나 금단증상 없습니다. 피 속에 흡수돼서 효과를 발휘하다가 효과가 끝나는 시간이 되면 배설돼서 끝나버리는, 몸 밖으로 모두 나가는 약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약을 먹으면 약효가 발휘되는 시간만큼 혈압이 떨어지고 그다음 날 약을 안 먹으면 혈압이 올라갑니다. 그렇다고 이 혈압이 갑자기 약을 먹다가 그냥 확 올라가는 게 아닙니다. 그냥 원래 높았던 혈압 상태 그대로 고혈압이 그대로 거기까지만 올라가요. 그래서 혈압약을 끊지 못하는 이유는 약의 특별한 능력 때문이거나 부작용 때문이 아닙니다. 환자의 혈압이 계속 높기 때문에 약을 안 먹으면 혈압이 오르니까 그래서 약을 못 끊는 거예요. 만약 약을 안 먹었는데 혈압이 낮다면 약 끊어야죠. 왜냐하면  대부분의 고혈압 약은  혈압이 떨어지는 것 외엔 다른 효과가 특별히 없기 때문이에요.

    혈압의 분류혈압의 분류
    혈압의 분류

    물론 특이한 경우가 있습니다. 신장 질환이 있다거나 당뇨가 있다거나 심근경색 혹은 심부전이 있다거나 하는 경우에는 혈압약 자체가 콩팥이나 심장을 보호해 주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쭉 드셔야 하는 분들도 있죠. 하지만 그냥 단순히 혈압만 높고 다른 동반 질환이 없는 분들은 혈압약을 드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여러분, 평생 약을 드실 생각하지 마시고 지금 혈압을 떨어뜨리세요.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순간순간들이 모여서 뇌출혈을 향해 달려가고 있어요.

     

    고혈압 전단계(수축기혈압 120 mm/Hg이상 또는 이완기혈압 80mm/Hg 이상)분이 생활습관 개선을 하지 않을 경우 고혈압에 걸리며, 계속 방치할 경우 합병증으로 응급실에 실려올 수 있습니다. 여기 대한고혈압학회에서 안내하는 저염식 치료방벙을 알려드리오니, 아래 확인하시어 꼭 건강 챙기시길 바랍니다. 

     

    https://www.koreanhypertension.org/sense/self

     

    대한고혈압학회

    춘, 추계 학술대회, 학회지, 연구과제 공모, 기초의학, 임상의학 분야, 고혈압 연구 안내.

    www.koreanhypertension.org

     

     

    만약 나트륨 과다 섭취로 고혈압이 조절이 안될 경우 주치의와 상의하여 고혈압 약을 드셔야 합니다. 여기 1일 소금 권장섭취량 정보 및 소금 빼는 가장 중요한 성분(음식)을 알려드리오니, 아래 확인하시어 고혈압 약을 먹지 않고 건강 챙기시기 바랍니다. (약을 줄이거나, 중단할 경우 반드시 주치의와 상의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고혈압의 치료는 약이 아니어도 충분히 가능합니다. 저염식, 저지방식, 금연, 금주, 운동 등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어요. 그렇지만 그중에 간단히 예를 들면 수축기혈압이 150mm/Hg에서 160mm/Hg 정도 되는 환자가 저염식사, 운동으로  5kg 이상 감량하시면, 140mm/Hg 이하로 혈압이 떨어지고 약을 드시지 않아도 되는 사례도 있었습니다. 그런데 운동, 저염식, 귀찮고 힘드시다고 하시면 대책이 없습니다. 병은 이미 생겼는데 노력하기도 싫고 약 먹기도 싫고 별 증상이 없으니 계속 혈압은 170 mm/Hg, 180 mm/Hg, 200 mm/Hg 이렇게 계속 올라 있고, 그렇게 순간들이 모이고 있다면 내 몸을 내가 포기하는 거죠. 고혈압 있다고 다 뇌출혈 생기는 건 아니지 않냐고 물으실 수 있습니다. 물론 아니죠. 혈압이 잘 조절되는 고혈압 환자는 뇌출혈이 생기지 않아요.

    고혈압 조절의 필요성

    고혈압 조절의 필요성고혈압 조절의 필요성고혈압 조절의 필요성
    고혈압 조절의 필요성

    그런데 혈압이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환자는 뇌출혈이 발생할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 간단하게 고무관이 하나 있어요. 고무관이 있는데, 이 공간에 물이 흘러가요. 이때 물의 압력이 120~140mm/Hg 까지만 압력을 버티도록 고무관이 설계돼 있어요. 그런데 여기에 계속적으로 180mm/Hg이나 200mm/Hg 정도의 압력으로 물을 부어 주면 어떻게 될까요? 혈관은 정말 고무관처럼 쫄깃쫄깃하고 고무관 보다 더 약해요. 그런데 여기다가 180mm/Hg, 200mm/Hg 이렇게까지 계속 압력을 주면, 어떤 사람이든 혈관 생김새가 똑같기 때문에 예외 없이 터집니다. 내 혈관만 철로 만들어진 게 아닌 이상 혈관은 다 과한 압력을 계속 주게 되면 터지게 돼 있어요. 나랑 내 가족만 피해 간다고 생각하시면 안 됩니다. 예외는 없어요.

    고혈압 조절의 필요성고혈압 조절의 필요성
    고혈압 조절의 필요성

    고혈압 약을 한번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고, 끊으면 큰일이 난다는 생각을 가진 환자분들, 이 오해 때문에 오히려 심각한 고혈압이라는 질환을 외면하고 계시는 분들, 여러분의 혈관 건강은 지금도 망가지고 있어요. 고혈압이라는 질환의 합병증과 심각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주세요. 고혈압 약만 특별한 치료라는 오해를 버려 주세요. 혈압이 떨어지면 혈압약을 드실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니까 평생 혈압약 드실 걱정하지 마시고,  지금 우리가 해야 할 일은 어떻게 혈압을 떨어뜨릴지 어떠한 방법으로 내가 열심히 떨어뜨릴지 고민하는 일입니다.

     

     

    https://naver.me/5VlLttWE

     

    고지혈증 주사 치료

    관동맥에 기름이 끼어 있어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70mg/dl까지 낮춰야 되는데, 스타틴 약물 부작용으로 LDL 콜레스테롤 수치를 못 낮추는 경우 참 곤혹스럽습니다. 여기 한 달에 한 번 주사 맞으면

    good.afew7.com

     

    https://naver.me/FBJinvGu

     

    내장지방 다이어트 10가지 방법 (뱃살 빼는 방법)

    뱃살 때문에 고민인 분들 많으시죠? 전체적으로 비만인 분들도 있지만, 팔다리는 가는데 배만 볼록 나온 올챙이형, 거미형 체형이신 분들로 많으실 거예요. 뱃살이 자꾸 찐다면 북부 안에 내장

    good.afew7.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