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혈압약 부작용 저혈압

어퓨굿70 2024. 5. 31. 13:22

목차



    반응형

    혈압약 부작용
    혈압약 부작용

    고혈압은 우리나라 성인의 약 30%에 해당할 정도로 매우 흔한 질환입니다. 남성의 약 3분의 1, 여성의 4분의 1이 고혈압 환자고요. 65세 이상으로 보면 거의 70%가 고혈압을 가지고 있습니다. 진료실에서 의사가 "이제는 고혈압을 드셔야 됩니다"라고 말씀을 드리면 "조금만 더 기다렸다 먹으면 안 되냐?" "약을 먹어서 조절하는 것은 나쁜 게 아니냐?"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이 계십니다. 하지만 혈압이 높으면 심장병, 뇌졸중, 콩팥 질환 등이 많이 생기고 또 혈압을 약을 먹어서 효과적으로 조절하면 이런 질환들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약을 잘 드셔서 적절하게 관리해야 합니다.

    혈압약의 실익혈압약의 실익
    혈압약의 실익

    고혈압 약은 우리나라에서 만도 흔하게 드시는 약이고, 장기간 많은 분들이 복용하는 약이지만 알아두셔야 할 몇 가지 부작용들이 있어 이 점을 알려드리고자 합니다.

     

    매일 혈압약을 복용하시고 계시나요? 언제까지 혈압약만 의존하실 건가요? 혈압약 부작용을 설명하기 전에 먼저 혈압약 복용 없이 혈압을 낮추는 방법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실제 의학 교과서와 대한고혈압학회 진료지침 상의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믿고 따라 하시면 혈압약 복용 없이도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습니다. 아래 버튼 확인하시고 대한고혈압학회 권고 내용을 실천하시어 건강한 삶의 질을 회복하시길 바랍니다. 

     

     

    출처 : 대한고혈압학회

    고혈압 약의 부작용 저혈압 : 증상 및 원인

    저혈압저혈압저혈압
    저혈압

    고혈압 약의 부작용 중에 가장 흔하고 가장 조심해야 될 부작용은 저혈압입니다. 저혈압에 의한 증상은 "너무 기운이 없고 의욕이 없고 피곤하다" 또 "앉았다 일어나거나 누웠다 일어날 때 어지럽고 핑 돌면서 쓰러질 것 같다" 이렇게 호소하시는 분들이 있습니다. 그래서 혈압약을 복용하시면서 이런 저혈압 증상이 있으면 꼭 담당 선생님과 상의를 하시기 바랍니다. 저혈압이 나타나는 원인의 가장 큰 이유는 혈압약의 용량이 좀 과하기 때문인데요. 가장 흔한 경우가 '백의고혈압'이라는 것입니다. 환자분들이 병원에 와서 의사와 간호사들의 흰 가운을 보면 혈압이 오르는 이런 경우를 '백의고혈압'이라고 하는데요. 집에서 잴 때 혈압은 정상인데 병원에만 가면 혈압이 오른다 하시는 분들은 꼭 백의고혈압을 의심해 봐야 합니다. 처음 진단을 하고 약을 복용하게 되는 약 20~30% 정도가 이런 '백의고혈압'에 해당됩니다. 백의고혈압이 의심될 경우에는 가정 혈압 또 낮 동안의 일상생활에서의 혈압을 측정을 해서 진단하게 됩니다.

    저혈압 원인저혈압 원인저혈압 원인
    저혈압 원인

     

    저혈압
    증상 기운이 없고 피곤, 앉았다 일어나거나 누웠다 일어날 때 어지럽증
    원인 혈압약 과용량, 혈압약 복용과 함께 체중감량 등 생활습관 개선에 따른 발현, 다른약과의 작용

    고혈압 약을 드시는 분들 중에 저혈압이 생기는 또 한 가지 원인으로 생활습관 관리를 아주 철저하게 잘 조절해 주시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고혈압 약을 처방할 때 의사들은 생활습관 관리에 대해 아주 강조를 합니다. 체중을 빼고 또 저염식을 하고 유산소 운동을 충분히 규칙적으로 해 주고 적절하게 좋은 식사 습관을 가지게 되면 혈압약 한 알 이상의 효과를 얻게 됩니다. 그래서 고혈압 약을 복용하게 되게 되신 분 중에 충격을 받고 이런 생활습관 관리를 철저하게 해 주시는 분들이 생각했던 것보다 혈압이 많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통 체중을 5~10kg 정도 빼주게 되면 혈압약 하나 이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거든요. 이렇게 해서 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또는 약을 끊어 가면서 조절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조심해야 할 것은 생활습관 관리를 꾸준히 계속 잘한다는 게 참 어렵습니다. 그래서 조절을 잘하시다가 다시 체중이 늘거나 생활습관 관리가 안 좋게 될 때는 또 혈압이 오를 수 있기 때문에 이렇게 생활습관 관리로 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끊게 되시는 분들은 자가 혈압 측정에 더 관심을 가지고 자주 측정해 주시면 좋겠습니다. 

     저혈압 원인  저혈압 원인  저혈압 원인
    저혈압 원인

    또 혈압약을 드시면서 저혈압을 경험하게 되는 흔한 경우의 하나가 혈압을 떨어뜨리는 다른 약과의 작용 때문입니다. 이런 경우는 남성 어르신 중에서 흔히 볼 수 있는데요. "혈압이 잘 조절되다가 갑자기 혈압이 너무 낮아졌다" 또는 "혈압 조절이 잘 안 됐는데 요즘 혈압이 너무 잘 조절된다" 이렇게 말씀하시는 분들에게는 혹시 전립선비대증 치료약을 복용하기 시작했는지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전립선비대증 약으로 흔히 쓰이는 '알파 차단제'라는 약이 있습니다. 많은 분들이 사용하고 계신데 이 '알파 차단제'는 방광 근육의 입구 쪽을 느슨하게 해 주기 때문에 소변을 보기 쉽게 해 줍니다. 이 약은 말초 동맥의 혈관도 확장시키기 때문에 혈압을 떨어뜨릴 수 있습니다. 이렇게 전립선비대증 약을 같이 드시게 되면서 혈압이 많이 떨어지게 되는 경우는 마찬가지로 혈압약의 용량을 줄이거나 아니면 그 전립선비대증 약을 다른 약으로 변경해서 관리를 할 수 있기 때문에 의사 선생님과 상의를 하시면 되겠습니다.

    각 약제별 부작용

    약재별 부작용약재별 부작용
    약제별 부작용

    다음은 고혈압 약의 각 약별 부작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고혈압 약은 여러 종류가 있습니다. 그중에서 우리나라에서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는 계통의 약은 칼슘채널차단제라는 약과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라는 약입니다. 약 이름이 어려워서 생소하실 수도 있지만, 이 약은 우리나라 고혈압 환자의 반수 이상에서 사용을 하고 있고 더구나 이 두 약을 복합해서 한 알로 만든 그 복합제의 경우는 현재 최대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고혈압 약이니까 모두들 흔하게 복용하고 있는 약이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습니다.

     

      혈압약의 종류 약품명 부작용 복합제
    1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디오반 마른기침, 태아의 기형 위험 트윈스타
    엑스포지
    2 칼슘채널차단제 노바스크 홍조, 부종, 두통, 잇몸 증식
    3 이뇨제 다이크로짇 당지수 및 콜레스테롤 조금 상승  
    4 베타 차단제 딜라트렌드 천식 환자 악화  

    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
    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

    그럼 먼저 칼슘채널차단제의 부작용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칼슘채널차단제는 혈관을 확장시켜서 혈압을 떨어뜨리는 효과를 나타내는데요. 이 혈관이 확장되면서 나타나는 부작용들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얼굴 쪽 혈관이 확장되는 건데요. 약을 드시고 얼굴이 달아오른다고 호소하시는 분도 있고, 간혹 혈압약을 먹고 나서 낮술을 먹지 않았냐고 오해를 많이 받는다 이렇게 말씀하시기도 하고 또 남성분들 중에는 이상하게 혈압약을 먹기 시작한 후로 내가 갱년기 증상이 생긴 것 같다. 얼굴이 화끈거리고 달아오른다 이렇게 호소를 하십니다. 이게 다 얼굴 혈관이 확장돼서 생기는 증상이고요. 또 다리 쪽으로는 발목이 부을 수 있습니다. 발목이 부어서 양말 자국이 뚜렷이 나타난다든지 발이 부어서 신발이 잘 안 들어간다 이렇게 말씀하시고 또 머리 혈관이 확장되는 경우가 있는데, 두개골이라는 닫힌 공간 안에서 머리 혈관이 확장되면 그걸 두통으로 느끼시게 됩니다. 이렇게 얼굴이 달아오르거나 발목이 붓거나 두통이 생기는 것과 같은 이 칼슘채널차단제의 혈관 확장에 의한 부작용은 이뇨제를 좀 첨가해서 쓰거나 아니면 약을 다른 계통의 혈압약으로 바꿔 줌으로써 쉽게 개선이 되기 때문에 전혀 걱정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
    칼슘채널차단제 부작용

    다른 부작용 중의 하나로 잇몸이 증식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요즘 많이 쓰고 있는 칼슘채널차단제 중에는 약 3% 정도에서 이런 부작용이 나타난다고 알고 있는데, 미용적으로 보기 싫어서 또는 잇몸이 씹혀서 치과 치료를 받으러 갔다가 알게 되시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도 약을 끊거나 다른 약로 바꿔 주면 쉽게 해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시면 되겠습니다.

    약제 부작용약제 부작용
    약제 부작용

    다음은 우리가 흔히 쓰고 있는 약제 중 하나인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또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라는 계통의 약입니다. 용어는 어렵지만 많이 쓰고 계시는 약이고요. 예전에는 안지오텐신 전환효소 억제제라는 약을 많이 쓰면서 마른기침에 대한 부작용들이 좀 많이 있었습니다. 혈압약을 복용하신 후에 자꾸 마른기침이 나온다. 목이 간질간질하다. 이런 증상이 있으신 분은 의사 선생님과 상의를 해 보시는 게 좋습니다.

    또 한 가지 잘 알아 두셔야 될 것이 선천성 기형의 위험이 있다는 것입니다. 임신 후 특히 임신 15주 이상에서 이 약을 장기간 복용할 때는 태아의 콩팥 기능에 장애를 가져와서 선천성 기형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를 해야 되겠습니다. 40세 이상의 여성에서도 약 10% 정도의 고혈압 환자가 있고 또 요즘에는 40대에서도 임신을 많이 하게 됩니다. 따라서 가임기 여성의 고혈압 환자 분들은 약제의 부작용을 잘 알고 계셔서 임신 가능성이 있을 때는 약 선택에 주의를 해 주셔야 되겠습니다. 

     

    이렇게 여러 가지 고혈압 약에 의한 부작용을 말씀드리다 보니까 너무 나쁜 점만 부각을 해서 더 걱정을 하실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전문가들이 "혈압약은 꼭 복용해야 한다"라고 말하는 이유는 약을 먹음으로써 얻는 이익이 약을 먹음으로써 얻은 위험보다 훨씬 크기 때문입니다. 칼슘채널차단제 그리고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모두 심장, 혈관, 콩팥에 매우 좋은 효과가 있다고 이미 알려진 약들입니다. 따라서 혈압약을 통해서 혈압을 적절하게 잘 조절하셔서 이런 뇌혈관 질환, 또 심장 질환, 콩팥 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하시는 것이 훨씬 더 현명한 것이고요.

     

    약을 드시는 분들은 위에서 설명드렸던 이런 몇 가지 부작용을 잘 유념하셔서 본인에게 맞는 적절한 용량의 적절한 약을 주치의와 상의하셔서 복용하시면 혈압약만큼 보약이라고 할 수 있는 약은 더 없을 것 같습니다.  

     

    https://naver.me/xpWbEMSY

     

    혈압약 효과 및 부작용

    고혈압 약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고혈압 약의 종류, 어떻게 혈압을 떨어뜨리는지, 기전은 무엇인지, 빈도가 높은 부작용 등 고혈압 약에 대한 총정리를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고혈압 약

    good.afew7.com

     

     

    반응형